안규백 “민주당 전당대회 룰 약간의 조정 가능성 있다”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 안규백 의원실 제공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은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득표 반영 비율은 만고불변의 진리가 아니다”라며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문제”라고 밝혔다.

민주당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규칙을 정하는 역할을 맡은 안 위원장은 14일 국민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전당대회 규칙은 시대 상황을 비롯한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며 “약간의 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친명(친이재명)계를 중심으로 현재 각각 45%와 40%인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득표 반영 비율을 대의원 20%, 권리당원 45% 정도로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이 나왔다.

1만6000여명 수준인 대의원의 표가 70만명에 육박하는 권리당원의 표보다 더 큰 결정권을 갖는다는 것을 불합리하다는 주장이다.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에 이어 안 위원장도 반영 비율 조정에 긍정적인 언급을 함에 따라 조정 가능성이 커졌다.

안 위원장은 그러나 친명계가 요구한 권리당원 투표권 확대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안 위원장은 “이는 원칙의 문제이기 때문에 민주당 구성원 전반의 합의가 필요하다”며 “고무줄처럼 인위적으로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쉽지 않다”고 말했다.

현재 민주당은 선거권 행사 6개월 전 입당해 6회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에게만 선거권을 주고 있다. 친명계 일각에서는 이를 ‘3개월 전 입당, 3회 이상 당비 납부’로 완화하자고 했고, 친문(친문재인) 진영은 이재명 의원 측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조건이라며 강하게 반대했다.

안 위원장은 ‘내실 있는 전당대회를 위해 일정을 순연하자’는 당 일각의 요구에 대해서도 “시간은 충분하다”고 일축했다. 그는 “지금 전당대회를 뒤로 미루면 국민이 민주당을 어떻게 여기겠느냐”며 “원칙도 없고, 절박하지도 않다고 생각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재선 의원 그룹을 중심으로 제기된 ‘집단지도체제’로의 지도부 선출 방식 변경에 대해 안 위원장은 “그렇게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여당은 청와대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이 많지만, 야당은 지도부를 집단지도체제로 구성해야 당내 여러 세력을 아우르고 중지를 모을 수 있다는 것이 안 위원장의 생각이다.

그는 그러면서 “현재의 단일성지도체제로 새 지도부를 구성하면 지도부 구성원의 선수가 너무 낮아져 정치적 무게감이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단일성지도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각각 선거를 치르는 것으로 현재 민주당의 지도부 선출 방식이다.

반면 집단지도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 선거를 한번에 치러 최다 득표자가 대표를, 최고위원은 득표순으로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집단지도체제로 변경되면 지도부 내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구더기가 무서워 장을 못 담그겠다는 얘기 아니냐”며 “정치집단은 정치력을 발휘해 이해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당헌 당규 개정 문제를 놓고 친명계와 친문계가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 대해 안 위원장은 “전준위의 역할이 시대에 뒤떨어진 당헌과 당규를 시대 정신에 맞게 바꾸는 것”이라며 “그러라고 전준위 안에 당헌당규 분과가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은 평시가 아닌 전시에 준하는 비상상황이기 때문에 (양측 모두) 구당적 차원에서 당을 살리겠다는 마음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안 위원장 선임에 대해 친명계 일각에서는 ‘범친문계로 분류되는 정세균계인 안 위원장이 공정하게 전당대회를 진행할 수 있겠느냐’는 비판도 나온다.

안 위원장은 이에 대해 “정세균계는 이미 해체선언을 했다”면서 “나는 계파색이 없는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안 위원장은 “당무위원회의 인준과 동시에 전준위를 공식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Add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